목록개발러발자국/보고듣고느끼고 (12)
개발세발
수업 중에 들었던 바와 같이 한 카테고리의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렇게 힘들게 구축한 데이터를 우리나라 정부는 왜 공공으로 제공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이 생겨 검색을 해보았다. 여러 글을 보다가 아래의 글이 정리가 잘 되어있는 듯하여 가져왔다. [데이터는 왜 공개되어야 하는가] https://opendatahandbook.org/guide/ko/why-open-data/ 왜 데이터를 공개해야 되는가? 왜 데이터를 공개해야 되는가? Languages: de el en es fr he hr id is it ja ko lt lv my ne nl_BE pt_BR ro ru zh_CN zh_TW {term:열린 데이터}, 특히 {term:열린 정부 데이터}는 아직까지 openda..
전에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짧게나마 디자인에 대해 고민해보고 글을 남겼었다. http://bluepinetree.tistory.com/205 오늘 pigma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다가 ui/ux디자인 관련 정보를 좀 더 찾아보게 되었고 정처기 실기 공부 과목에서 디자인 부분 내용이 나오면서 기본 디자인 원칙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사회적 합의와도 같은 암묵적인 룰. https://bluepinetree.tistory.com/279 ui 지침 Apple Developer - 화면 설계 https://developer.apple.com/kr/design/tips/ UI 디자인 기본 원칙 - Apple Developer 콘텐츠 형식 지정 기기 화면에 맞는 레이아웃을 생성하십시오. 사용자가 기본..

세미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한은 끝나가는데 완성된 페이지를 보고 약간의 회의감과 엄청 많은 아쉬움이 도드라지게 들기 시작했다. 그래서 부족한 시간 내에서 좀 더 완성도 있어 보이는 페이지를 만들어보고 싶었고 웹디자인 레퍼런스를 다시 뒤져봤다. 그리하여 요즘 사이트들의 유행 및 내가 내린 나름의 결론 ✅ 풀스크린 화면(PPT 또는 웹툰 느낌) : 규모가 크지 않은 사이트 + 퍼블리셔/프론트엔드 포트폴리오를 보면 풀 스크린 화면으로 화면 구성이 간단하고 명확한 특징을 많이 보인다. ✅ 정보량이 부족한 대신 구성이 크고 깔끔하며 화면 전환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정보가 많았다면 이 점이 좀 정신사나웠을 것이다. 반면 정보가 적으면 사이트가 비어 보이고 황량한 느낌을 주는데 그걸 보완하기 위해 이미..
https://speakerdeck.com/mingrammer/hoesa-baggeseo-seongjanghagi 회사 밖에서 성장하기 회사에서 뿐만 아니라 회사 밖에서 스스로 성장했었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speakerdeck.com https://www.youtube.com/watch?v=U0YWdnSKDfw https://medium.com/@jongyoungpark/%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EA%B3%B5%EB%B6%80%EB%A5%BC-%EB%A9%88%EC%B6%B0%EB%9D%BC-1afa37644474 프레임워크 공부를 멈춰라 멘토: “기술은 나타났다 금방 사라지지만 그것들은 많은 부분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우선순위를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