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세발

[IT잡학사전] DAY 03 본문

인터넷 배움/노마드코더 - IT잡학사전

[IT잡학사전] DAY 03

뉼👩🏻‍💻 2023. 1. 15. 23:49
728x90
반응형
SMALL

 

 

기록 날짜

2023. 01. 16 월요일 

(하루 일찍 업로드)

 

오늘 읽은 범위

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비슷한거 아냐?

12. 제이쿼리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기술일까?

13. 그놈의 API, 대체 뭐길래?

14. 도메인은 왜 돈을 주고 사야할까? 

15. 플래시의 서비스 종료와 스티브 잡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공통점 차이점   
라이브러리 개발 속도를 향상시켜주는 도구 개발자가 제어함
교체가 쉽다
제이쿼리(jQuery),
부트스트랩(bootstrap),
시맨틱 UI(Semantic UI),
테일윈드 CSS(Tailwind CSS)
프레임워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사용해야 함 
교체가 어렵다 
장고(Django),
스프링(Sping)

- 리액트는 공식 사이트에서는 라이브러리로 소개되고 있음 . 하지만 규칙에 맞게 코딩하지 않으면 오류가 나기 때문에 프레임워크로 여겨지기도 함 

 

 

 

* 제이쿼리 JQuery 

- 당시 자바스크립트가 가진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었던 수단 

➡️ 브라우저의 호환성을 챙기면서 코드도 JS보다 깔끔하게 작성됨 

➡️ 제이쿼리 플러그인이 많아서 다양한 기능 구현이 편리했음 

; JS가 ES2015, ES2016, ES2017을 거치면서 기능도 좋아지고 코드도 쓰기 쉬워짐은 물론 웹 브라우저와의 호환성도 좋아져서 제이쿼리를 사용해야할 이유가 사라지게 됨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프로그램끼리 소통할 때 쓰는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한 것 

 

 

* 도메인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키며, 좁은 의미에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

도메인 ip
naver.com 202.131.30.11
google.com 173.194.126.240

 

*레지스트리 Registry

- IP주소와 도메인을 적은 전화번호부

- 도메인을 만드는 것은 레지스트리

 

◼️ 닷컴(.com)

- 유명한 레지스트리 중 하나 

- 베리사인(Verisign)이라는 회사에서 관리함 

- 도메인을 만드는 역할을 할 뿐 직접 판매하지는 않음 

 

◼️ 리셀러 reseller

: 계약 관리, 결제 처리, 도메인 비용 지급 등의 일을 함 

- 고대디 GoDaddy

- 가비아 gabia

- 후이즈 Whois

- 카페24

 

◼️ 아이캔 ICANN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 도메인을 관리하는 비영리 기구 (일종의 최상위 전화번호부)

- 새로운 레지스트리를 운영하려면 아이캔에 인프라나 기술, 고객관리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자료를 제출해서 증명해야하고 비용도 18만 5천 달러 정도 듦 

 

 

* 플래시 ( Adobe Flash)

- 게임, 영상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 퓨처웨이브 소프트웨어 FutureWave Software라는 회사에서 만든 퓨처스플래시 애니메이터 FutureSplash Animator라는 프로그램(만화와 애니메이션을 그리는 사람을 위한 제품)이 시작점 

 

- 이후 매크로미디어(Macromedia)가 퓨처웨이브 소프트웨어를 인수하면서 퓨처스플래시 애니메이터를 '플래시'로 바꿈 

➡️ 플래시 플레이어 플러그인 ; 애니메이션을 브라우저에 띄울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 매크로미디어는 이후 어도비에 인수됨

 

-유튜트에서 비디오 영상을 재생하는 도구로 플래시를 사용하면서 위상이 커짐 

 

-  스티브잡스가 1. 플래시는 오픈소스가 아니다 2. 플래시로 해킹되는 사례가 많고 안전하지 않다 3. 플래시와 상호작용하려면 마우스를 사용해야하는데 이는 손가락 터치를 활용하는 iOS에게는 유용하지 않다. 라는 점으로 플래시 사용을 지양함

➡️ 플래시를 대체할 만한 기술이 HTML5, CSS3에 도입되면서 플래시 없이도 예쁘고 다채로운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게 됨

 

; 이후 2020년 12월 31일에 플래시가 종료됨 

 

 

 

 


 

 

어도비 플래시가 서비스 종료될 때 웹 사이트에 검색만 잘 하고 사용만 잘 했지 특히 개발쪽으로는 전혀 문외한에 공부를 시작하기도 전이었기에 서비스 종료라는게 어떤 뜻인지 전혀 이해도 못했다. 그리고 어도비 플래시가 없더라도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꼈던 지점이 없었기에 더더욱 그랬다. 내 컴퓨터에 깔린 무언가가 사용기간이 만료된건가 ... 그냥 그정도로만 생각했었는데 이런 뒷배경을 이제나마 알게되어서 재미있고 유익했다. 

고작 몇달차이임에도 내가 개발공부를 시작했을 때는 제이쿼리에 대한 이야기가 여전히 많이 나오고 있던 시점이었다. 그래서 요즘엔 더더욱 제이쿼리를 지양하고, 채용에 있어서도 크게 염두해두지 않고 있는 기업들이 많아지면서 괜시리 격제지감이 느껴졌다. 리액트도 한동안은 유행이 계속되겠지만 또다른 대세로 변화하지 않을까. 어느정도의 신기술을 배워야하는가. 그것도 참 공부하면서 계속 드는 의문인거 같다. 

vue.js보다 react를 사용하는 곳이 훨씬 많은 것 처럼. 어떻게 보면 한순간의 선택인데 react를 선택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가 있는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 뭐 js기반이니 크로스하는데 있어서 엄~~청 힘들진 않을 것 같고 배워두면 유용하니깐 도움은 되겠지 싶기도 한데 그럼에도 두 갈림길 중 길이 적은 곳을 선택한 셈이 되니 아쉽긴 할 것 같다. 

나도 살면서 이런 지점이 생기게 될텐데 어떻게 하면 현명하게 선택하고 극복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든다. 

 

728x90
반응형

'인터넷 배움 > 노마드코더 - IT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잡학사전] DAY 05  (0) 2023.01.18
[IT잡학사전] DAY 04  (0) 2023.01.18
[IT잡학사전] DAY 02  (0) 2023.01.15
[IT잡학사전] DAY 01  (0) 2023.01.14
IT 5분 잡학사전 (책인증)  (1) 202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