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세발

포트 port 본문

코딩공부/OS

포트 port

뉼👩🏻‍💻 2022. 6. 23. 15:42
728x90
반응형
SMALL

scheme ://host[:port][/path][?query]



https://www.youtube.com/watch?v=2ikhZ_fNP5Y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Basics_of_HTTP/Identifying_resources_on_the_Web

웹 리소스 식별 - HTTP | MDN

HTTP 요청 대상을 "리소스"라고 부르는데, 그에 대한 본질을 이 이상으로 정의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문서, 사진 또는 다른 어떤 것이든 될 수 있습니다. 각 리소스는 리소스 식별을 위해 HTTP

developer.mozilla.org







기본 포트 : http → 80 / https → 443
왜 80과 443 포트일까?
https://johngrib.github.io/wiki/why-http-80-https-443/

http의 기본 포트가 80, https의 기본 포트가 443인 이유는 무엇일까?

80은 처음부터 지정, 443은 나중에 요청을 받아 빈 공간으로 순서대로 배정

johngrib.github.io


결국 문서화하는 과정에서 비어있는 포트를 기본 포트로 지정하면서 그렇게 설정된듯하다.

추가 참고자료
https://lovefor-you.tistory.com/416

http, https 기본 80 포트, 443 포트와 포트 종류

포트(port) : 논리적인 접속 장소로 하나의 도메인, 하나의 ip주소가 할당되어도 뒤에 port 번호로 구별하여 각각 다른 서버에 접근 가능하다. 서버에 접근하여도 일단 IP로 붙어서 그 안에 여러

lovefor-you.tistory.com


https://creativeworks.tistory.com/entry/HTTP80-HTTPS443-%EC%99%9C-80-443%EB%B2%88%EC%9D%BC%EA%B9%8C-%EC%9D%B4%EC%9C%A0%EB%8A%94

HTTP:80, HTTPS:443. 왜 80, 443번일까?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특별한 목적이나, 쓰임을 위해 할당된 인터넷 포트(port)에 익숙한데 반해 왜 포트 번호들이 그렇게 결정되어 있는지는 잘 모른다. 이번 글은 포트 번호가 어떻게 배정되어 사용

creativeworks.tistory.com


https://opentutorials.org/course/3265/20037

포트(port) - 생활코딩

수업소개 여기서는 포트라는 개념을 알아봅니다. 하나의 컴퓨터에는 여러개의 서버라 설치 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컴퓨터에 접속할 때 어떤 서버와 접속하려고 하는지는 구분할 수 있는

opentutorials.org



DNS
Domain Name System : 일종의 도메인 전화번호부
- 도메인 이름을 해당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한 분산 데이터베이스 계층
-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집합

Name server
: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DNS 정보가 실제로 저장되는 서버

브라우저는 PC에 설정된 로컬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과 호스트명의 ip를 탐색

로컬 DNS서버는 일반적으로 통신사 것으로 세팅되어 있음
이걸 수정한다는것
1. 국가에서 막아둔 사이트 접속
2. 특정 서비스를 보다 빠르게 이용


https://www.youtube.com/watch?v=6fc9NAQkcv0






DNS 스푸핑 (spoofing)



캐싱

https://aws.amazon.com/ko/caching/

캐싱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합니까 | AWS

다양한 캐싱 사용 사례 알아보기 데이터베이스 캐싱 속도와 처리량 면에서, 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하는 성능은 애플리케이션 전체 성능에 무엇보다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오늘날

aws.amazon.com


캐시 :
일반적으로 일시적인 특징이 있는 데이터 하위 집합을 저장하는 고속 데이터 스토리지 계층




A Record

: 도메인을 서버의 IP로 직접 연결하는 것.
- ip로의 직접 연결이라 연결 속도가 빠름
ip주소가 자주 바뀌는 환경에서는 불편함

CNAME

: 도메인을 별명과 연결하는 것으로 canonical name을 적는다는 뜻
- 하나의 도메인 네임(에일리어스)을 다른 이름(표준 형식의 이름)으로 매핑시키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의 리소스 레코드의 일종
- ip주소가 자주 변경되는 환경에서 정보 변경이 간단함
↔ 실제 ip주소를 얻을때까지 여러번 DNS 정보를 요청해야 함


위의 내용에서는 복습차원에서 아래의 블로그 글을 참고하여 작성한 부분이 있습니다.
https://dev.plusblog.co.kr/30

DNS에서 CNAME과 A 레코드의 차이

가비아, 후이즈, 고대디 등의 DNS를 이용해서 커스텀 도메인을 사용할 때, 서브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서 CNAME과 A 레코드 같은 정보를 DNS 서비스 홈페이지에 등록해야한다. 둘 다 서브 도메인을

dev.plusblog.co.kr



https://www.youtube.com/watch?v=GK3h936Co-k

728x90
반응형

'코딩공부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운영체제의 구조  (0) 2022.12.23
운영체제의 역사  (0) 2022.12.22
CPU bound, io bound  (0) 2022.12.20
운영체제란  (0) 2022.12.20
URL, URL, URN (정리중)  (0) 2022.06.23